명절 전부터 들려오던 소식은 라면, 빵 등의 식품의 인상 소식이었습니다. 명절 전에 올렸던 금액은 명절이 지나 추가적으로 올라가며 품목도 여러 가지가 추가되었습니다.
그중엔 이 시기가 되면 부르는 게 값일 정도로 차이가 나는 품목이 있습니다. 바로 김장에 사용되는 재료들입니다.
추석이 지나면 김장철이 가까워지면서 배추값과 고춧가루의 값이 점점 올라가는데요. 이번에도 배추값은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올여름 폭염과 폭우가 겹치고 태풍까지 한반도로
상륙하다 보니 한 달 사이에 배추값은 2배나 급등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김장에 들어가는 재료들도 값이 올라가고 있습니다.

무, 양파, 고춧가루도 1년 전과 비교하면 1.6 ~ 2.5배까지 훌쩍 상승하였습니다. 그로 인해 포장 김치도 줄줄이 인상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에서도 포장 김치는 연일 매진 사태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또한 밀가루와 같은 원재료는 상승하고 높아지는 환율, 국내외 제반 비용도 급등해 해당 품목들은 조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그렇다면 곡물 관련주는 어떤 것이 있는지도 알아보겠습니다.

대주산업
시가 총액
1,007억 원
60년간 사료배합을 전문으로 한 기업입니다.
오랜 기간 한 분야에 집중했기에 기업만의 노하우가 있으며 그것을 바탕으로 퀄리티 있는 제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고려 산업
시가총액
1,339억 원
1957년 고려건설 주식회사로 설립하였습니다.
금강공업(주)기업진단에 속해있습니다.
가축용 배합사료 전문으로 하고 있습니다. 또 축산물 유통 노하우 축적을 위해 식육사업부문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고려산업은 브라질, 미국 등에서 필요한 원재료를 수입하고 있습니다. 배합사료 생산설비를 부산, 대구 등에 보유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수입하는 원재료로는 옥수수, 대두박등이 있습니다.
대두박이란 콩에서 기름 짜고 나온 부산물을 뜻합니다.
사조동아원
시가총액
1,800억 원
사조동아원은 크게 두 가지 사업으로 나누고 있습니다. 우선 원맥을 가공해서 파는 제분사업이 있습니다. 두 번째로는 가축 및 양식 어류의 먹이를 파는 생물자원사업이 있습니다.
이는 밀가루 제분, 농산물 가공, 식품유통 등으로 말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경영 효율의 시너지를 높이기 위해 기존의 많이 보유하고 있는 한국 제본 주식회사를 흡수 합병하였습니다.
한탑
시가총액
559억 원
소맥을 미국, 캐나다, 호주 등의 국가에서 수입해 밀가루를 만드는 기업입니다.
농림수산식품부 HACCP 인증을 획득하였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시험 농장 운영, 연구 인력 확충 등으로 급격하게 변하는 시장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팜스토리
시가총액
2,479억 원
1991년 서일 산업으로 시작하였습니다.
옥수수, 귀리, 콩 등을 생산해 국내로 대량 반입을 진행하고, 연해주에 자체 농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 농장의 규모는 여의도의 40배 정도의 면적입니다.
또한 LPC의 도축, 가공 능력, 위생 등의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대한제당
시가총액
2,713억 원
대한제당은 설탕 제조 기업입니다.
가축용 배합 사료, 설탕, 자일로올리고당(기능성 감미료), 도소매 등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네덜란드, 영국 등의 축산 선진국과의 지속적인 기술제휴를 하고 있습니다. 연결된 종속 회사로는 TS개발, 대한 FSS 등이 있습니다.
정리
명절이 지나고 식품의 금액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많게는 21%까지 올라갈 수 있다고 합니다.
원재료의 급등으로 어쩔 수 없는 일이라고는 하지만
소비자 입장에서는 달갑지 않은 소식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원재료의 금액이 하락한다면 다시 인상했던 금액은 내려오는지 궁금해집니다.
식품의 인상되는 이유와 원재료인 곡물 관련주도 함께 알아보았습니다. 최근 쌀에 대한 이야기도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다음은 쌀 관련해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위의 내용은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개인의 투자 판단과 책임은 모두 본인에게 있음을
명시하는 바입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은행 적금 데일리워킹통장 가입 방법 (0) | 2022.11.25 |
---|---|
워런 버핏이 선택한 기업이 낙폭했다 (0) | 2022.11.23 |
천연 가스 관련주 호재 가능할까 (0) | 2022.11.09 |
미국 배당주 모건스탠리가 뽑았다 (0) | 2022.10.31 |
배터리 관련주 인플레이션 감축으로 호재일까 (0) | 2022.10.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