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공부9 차트와 친해지는 지지와 저항 차트를 보는 데 있어서 기본은 캔들, 저항, 지지 이렇게 3가지가 되겠습니다. 차트상 캔들의 모양과 지지선과 저항선을 찾을 수 있다면 기본기가 탄탄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지지선과 저항선은 어떻게 찾아야 하는지 지지선과 저항선이 어떤 것인지 그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지지선과 저항선의 의미. 저항선 상승하는 주가를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게 방해하는 구간을 말합니다. 지금 당장 저항으로 작용하는 선이 꾸준히 저항선이 되지는 않습니다. 이 말은 당장 저항선이었더라도 이 부분을 돌파한다면 나중엔 이곳이 저항선이 아닌 지지선이 되게 됩니다. 매수 타이밍. 1. 저항선 돌파시 매수. 2. 저항선 돌파 후 저항선이 지지선으로 될 시 매수. 3. 저항선 돌파 예측으로 매수. (매우 위험한 방법.) 마지막 3.. 2023. 3. 17. 호가창으로 흐름을 알 수 있다 주식은 차트도 재무제표도 봐야 합니다. 모든 걸 확인하고도 나에게 맞는 매매를 찾아야 합니다. 여러 가지 매매 방법이 있지만 호가창을 보면서 매매의 흐름을 알 수 있는 것들을 공부하고 정리해 보겠습니다. 호가창이란. 호가란? 주식을 매수 또는 매도할 때의 가격을 말합니다. 호가창은 매매하려는 가격대를 한눈에 볼 수 있게 한 것입니다. 가운데를 기준으로 위쪽은 매도를 원하는 사람들과 매도가를 아래쪽은 매수를 원하는 사람들과 매수가를 나타냅니다. 매수자와 매도자의 호가가 동일할 때 매매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즉 내가 매도를 하고 싶다면 매수하려는 사람이 있는 가격대에 매도를 걸어야 합니다. 이때 거래원을 함께 살펴본다면 거래를 주도하는 주체가 누군지 파악할 수 있다. 외국인 매매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호가창.. 2023. 3. 3. 배당금 이왕 받는거 잘 알아보자 배당금이 높은 기업을 찾는 게 쉽지만은 않습니다. 또 보유하고 있는 종목중 갑자기 배당금을 준다는 안내를 받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배당은 어떻게 측정되고 받을 수 있는것을까요? 배당금은 무엇일까? 배당금이란 주식 보유자에게 주는 회사의 이익 분배금을 뜻하는 말입니다. 그렇다면 배정은 어떻게 받게 되는 것일까요? 배당금을 주는 기업의 주식을 배당락일 전까지 매매를 하면 됩니다. 배당락일이란? 주식을 사도 배당을 받을 수 없는 날. 즉 결산전날을 뜻합니다. 대부분 배당락일까지 매매를 하면 배당금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배당락일까지 매매해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하는 것이 아닙니다. 반드시 결산 D-2 거래일까지는 해당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배당금의 종류. 배당금은 지급되는 것에 따라.. 2023. 2. 22. 재무제표의 두번째 이야기 주식을 하면서 재무제표를 보지 못하면 좋은 기업을 찾기 어렵다고들 합니다. 봐도 봐도 어렵기만 하고 알듯 말 듯 해 잘 알고 있는 것인지 판단하기도 어렵습니다. 하나씩 재무제표를 알아보면서 기초를 잘 다져야 하겠습니다. 재무제표를 보면 성장이 보인다. 앞서 내용은 재무제표 중 현재 진행 중인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현재도 중요하지만 과거부터 기업이 얼마큼 꾸준하게 성장해 왔는지 따져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재무제표를 보면 과거부터 어떻게 성장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바로 유보율과 부채비율을 보면 됩니다. 유보율. 회사가 쌓아두고 있는 현금을 말합니다. 그렇다면 유보율이 높아지는 경우는 어떤 게 있을까요?? 1. 신규 사업 투자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주식에서 신규 사업 투자는 호재로 여겨질 수 있는 부분이 .. 2023. 2. 20.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