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은 차트도 재무제표도 봐야 합니다.
모든 걸 확인하고도 나에게 맞는 매매를 찾아야 합니다.
여러 가지 매매 방법이 있지만 호가창을 보면서
매매의 흐름을 알 수 있는 것들을 공부하고 정리해 보겠습니다.
호가창이란.
호가란?
주식을 매수 또는 매도할 때의
가격을 말합니다.
호가창은 매매하려는 가격대를 한눈에 볼 수 있게 한 것입니다.
가운데를 기준으로 위쪽은 매도를 원하는 사람들과 매도가를 아래쪽은
매수를 원하는 사람들과 매수가를 나타냅니다.
매수자와 매도자의 호가가 동일할 때 매매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즉 내가 매도를 하고 싶다면 매수하려는 사람이 있는
가격대에 매도를 걸어야 합니다.
이때 거래원을 함께 살펴본다면 거래를 주도하는 주체가
누군지 파악할 수 있다.
외국인 매매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호가창을 잘 관찰하면 어느 가격대에 어느 정도의
매물이 있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실시간 체결량의 표시는 매수는 붉은색,
매도는 파란색으로 표시가 됩니다.
호가창의 용어 이해.
호가창을 잘 보기 위해선 해당하는 용어는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체결강도
체결강도는 호가창에서 왼쪽 아래에
표시되어 있습니다.
체결강도 100% 이상
매수세가 강하다.
체결강도 100% 이하
매도세가 강하다.
특히 장초반에 체결강도가 100% 이상이라면 주가상승이 빠르게
나타나며 급등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장초반에 100% 이하의 체결강도여도
상승할 수 있습니다.
즉 체결강도는 그날의 시장가 매매에 따라 정해지지만 이슈가 있을 시
체결강도가 정확히 맞아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호가단위.
호가단위는 가격 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기존 호가 단위.
1,000원 ~ 5,000 = 5원
10,000원 ~ 50,000원 = 50원
100,000원 ~ 500,000원 = 100원
23년부터 변경되는 호가단위.
1,000원 ~ 2,000원 = 1원
2,000원 ~ 5,000원 = 5원
10,000원 ~ 20,000원 = 10원
20,000원 ~ 50,000원 = 50원
100,000원 ~ 200,000원 = 100원
200,000원 ~ 500,000원 = 500원
23년 1월 1일부터 변경된 것은 아니지만
변경될 예정입니다.
호가창 응용.
호가창을 유심히 보다 보면 특정 금액대에
매물이 몰려있는 경우를 종종 보았을 것입니다.
매도호가에 몰렸을 경우.
매물이 매수보다 매도에 많을 경우 주가 상승
확률이 높아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매물이 많이 몰려있는 가격대까지
추가 상승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단 매도 호가가 매수 호가보다 많다고 해서
팔려고 하는 사람이 무조건 많다고 생각하면
안됩니다.
매수호가에 더 몰렸을 경우.
매도호가보다 매수 호가에 더 매물이
더 몰렸을 때는 주가가 대부분 하락세를 보입니다.
더 많이 몰려있는 매물대까지 추가 하락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매수 호가 잔량이 더 많다고 해서
사려는 사람이 많다고만 생각하면 안 됩니다.
여러 방송을 보면서 공부한 내용을
기록한 것입니다.
다른 사람의 방법과 다를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트와 친해지는 지지와 저항 (2) | 2023.03.17 |
---|---|
배당금 이왕 받는거 잘 알아보자 (0) | 2023.02.22 |
재무제표의 두번째 이야기 (0) | 2023.02.20 |
재무제표의 기초 (0) | 2023.02.16 |
RSI지표의 기초 (0) | 2023.0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