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을 공부하면서 차트를 잘 봐야 하고 기업의 재무상태를
체크해야 한다고 많이 들어봤을 것입니다.
재무제표의 기초를 잘 다지는 것부터 시작해 보겠습니다.
재무제표란?
투자를 하기 위해 재무상태를 체크하는 것을 일컫는 말입니다.
그렇다면 재무제표를 봐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재무제표를 통해 분기별 반기별 기업을 성장을 한눈에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기본적으로 따져봐야 하는 몇 가지를 공부하겠습니다.
매출액.
회사가 영업활동을 통해 판매한 제품이나 상품의 총금액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매출액은 그 기업의 활동성을 알 수 있는 것이기도 합니다.
이중에서도 기업의 성장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매출액증가율을 꼭 체크해야 합니다.
매출액증가율이란?
과거보다 얼마큼 더 올랐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올해 매출액 / 과거매출액 x 100) - 100 = n%
그러나 매출액 증가율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최소 3 ~ 5년의 비율을 살펴봐야 합니다.
영업이익.
기업이 핵심적인 사업을 통해 벌어들인 최종 금액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영업이익 = 매출액 - 매출원가 - 판매관리비
판매관리비로는 급여비, 복리후생비, 광고비등이
포함됩니다.
영업이익에서는 이자비용과 세금비용은
포함되지 않은 것입니다.
또한 기업의 성장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영업이익증가율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영업이익증가율.
기업이 매출 및 관리비용을 통해 직접적으로 벌어들이는
영업이익이 증가하는 비율을 나타낸 것을 뜻합니다.
(올해 영업이익 / 과거 영업이익 x 100) - 100 = n%
영업이익 증가율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3 ~ 5년 정도의
비율을 살펴봐야 합니다.
또한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됐다면 긍정적인 시그널이
나오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영업이익률.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의 비율로 말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매출액 중에서 영업이익이 차지하는 비율이
얼만큼인지 나타내는 것이 영업이익률입니다.
영업이익 / 매출액 x 100 = n%
당연히 영업이익이 높을수록 좋은 기업은 맞습니다.
그러나 영업이익률은 산업별로 다를 수 있습니다.
원재료비, 감가상각비와 같이 비중이 큰 산업섹션은
영업이익률이 낮게 나올 수 있습니다.
또 서비스, 기술을 판매하는 기술력과 같은 무형자산비중이
큰 산업색션은 영업이익률이 높을 수밖에 없습니다.
앞서 공부한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현재 진행 중인 것들을
비교하고 파악하는 재무제표입니다.
그리고 모든 재무제표는 동종업종의 기업들과 비교하여
긍정적인 것인지 혹은 부정적인 것인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즉 비율이 높다고 무조건 좋은 기업이라고 단정 지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과거에는 얼마큼의 수익이 났는지 따져보는 것부터
습관을 들여야겠습니다.
재무제표는 그 기업의 성장을 한 번에
알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탄탄하게 기초를 잡는다면 좋은 기업 혹은 성장하는
기업을 찾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입니다.
여러 방송을 보면서 공부한 내용을
기록한 것입니다.
다른 사람의 방법과 다를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당금 이왕 받는거 잘 알아보자 (0) | 2023.02.22 |
---|---|
재무제표의 두번째 이야기 (0) | 2023.02.20 |
RSI지표의 기초 (0) | 2023.02.14 |
캔들의 이해 심화편 (0) | 2023.02.12 |
캔들의 이해 기초편 (0) | 2023.0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