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서치콘솔> <네이버웹마스터> <구글 광고> 워런 버핏이 선택한 기업이 낙폭했다
본문 바로가기
경제

워런 버핏이 선택한 기업이 낙폭했다

by plan H 2022. 11. 23.
728x90
반응형

주식하면 떠오르는 거물 있으신가요? 워런 버핏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지난번엔 워런 버핏이 선택한 배당주 관련 이야기를 했었습니다.

 

오늘은 워런 버핏이 회장 자리에 있는 곳이 선택한 기업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우선 그 버핏이 있는 회사는 버크셔 해서웨이입니다.


최근 이 회사가 한 기업의 주식을 사들이고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사람들이라면 가볍게 지나치기엔 아쉬워 보입니다.

 

 

 

세계 최대 파운드리 업체


이는 세계 최대 파운드리 업체로 불리는 기업입니다. 파운드리란 반도체 위탁생산을 하는 것으로 대만의 TSMC가 세계 최대의 기업입니다.

그렇다면 어느 정도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기에 전 세계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는 것일까요? 매입 규모는 5조 4000억 원 정도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례적인 투자이기에 증권가에서도 주목하고 있습니다.


증권가에서는 TSMC의 평가로 좋은 가격에 측정된 기업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로 파운드리 시장의 세계 NO.1 기업인 TSMC가 경제적 혜자를 갖췄기 때문입니다. 올 한 해의 주가 폭락은 역대 최악의 수준이었습니다. 이 말은 고점 대비 낙폭이 커 금융위기 수준까지 하락했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TSMC의 주가는 왜 이렇게 폭락했던 것일까요?

일단 대만 기업이기에 중국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나라 간의 분쟁으로 이슈가 되는 몇몇 국가가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대만과 중국 간의 입장입니다.

시진핑 주석의 대만 문제는 중국의 핵심 이익 중에서도 핵심이라는 입장을 내비쳤습니다. 또한 대만을 중국에서 분리하려는 사람은 중국을 침해하는 것이란 발언도 있었습니다. 이렇듯 꾸준히 이야기가 나오는 건 절대 양보하고 싶은 생각은 없지만 다른 국가의 개입은 부담스러운 게 현실이기 때문입니다.

 

 

728x90

 

 

 

 

TSMC의 대응 방안


최근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19개 기업과 TSMC의 파트너십이 있습니다. 이들 국가 중에선 미국, 독일, 한국, 영국, 캐나다, 일본 등 주요 선진국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19개의 기업과의 탄탄한 파트너십의 이해관계에 맞물려 있다면 중국도 대만 문제를 더는 심각하게 만들기 어렵다는 해석이 있습니다. 그리고 TSMC의 생산 지역에도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일단 20년 미국 생산시설 투자 결정, 21년 일본 생산시설 투자 결정은 확정입니다. 독일, 싱가포르와도 추진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생산 지역에 변화가 될수록 중국 리스크는 완화될 가능성은 커 보입니다.

 

이런 모습이 정점을 지나가는 추세라면 워린 버핏이 생각처럼 큰 폭의 하락은 곧 좋은 가격이라 것이 충분히 성립됩니다.

정리


낙폭과대가 크면 그만큼 반등해 올라오는 폭도 크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하지만 반등의 폭이 크려면 기업의 매출과 성장 가능성도 꼼꼼히 따져봐야 합니다.

워런 버핏의 주식 투자 종목은 전문가이기에 더 솔깃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무조건 따라 매수를 하는 건 무리일 수 있습니다. 투자를 하기 전 왜 TSMC 기업을 선택했는지 더 살펴보는 것도 하나의 공부가 된다 생각합니다.

위의 내용은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개인의 투자 판단과 책임은 모두 본인에게 있음을 명시하는 바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TOP

TEL. 02.1234.5678 / 경기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